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r2로 되돌리기)
닫기
[[분류: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분류:대한민국의 인물별 논란]][[분류: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 사건 사고|이세계아이돌]][[분류: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이세계아이돌]]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959, uuid=c0c7aab0-7ace-4dff-b564-55879bcea26d)]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include(틀:상위 문서, 문서명1=이세계아이돌)] [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이세계아이돌)] [include(틀:왁타버스 관련 논란 및 사건 사고)] [목차] == 개요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소속 버츄얼 유튜버 그룹 [[이세계아이돌]]의 논란 및 사건 사고를 기록하는 문서이다. == 그룹 == === 실물 관련 논란 및 사이버 불링 피해 사건[anchor(빨간약 논란)][anchor(굴포차 영상 논란)]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9497c><nopad> [youtube(bq6FoSOdM9U)] || ||<bgcolor=#e9497c><color=#fff> '''33년 내공 놀라운 굴포차?! 겨울엔 자리잡기도 힘든 곳 Oyster pocha / Korean street food[br]{{{-2 [[OH MY FOOD 오마이푸드|{{{#fff (오마이푸드 / 2023년 1월 18일)}}}]]}}}[br]{{{-3 '''이세계아이돌의 실물로 추정되어 논란이 발생한 영상.'''}}}''' || 2025년 3월 22일, 상단의 [[OH MY FOOD 오마이푸드]]가 업로드한 유튜브 영상[* 2025년 7월 기준 해당 영상의 조회수는 논란 이후 급격히 증가해 '''300만 회'''를 돌파했다.] 내 굴포차에서 식사 중인 출연자들이 [[빨간약(버츄얼 유튜버)|이세계아이돌 멤버들과 동일 인물]]이라는 주장이 [[디시인사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을 비롯한 다수의 대형 커뮤니티에 확산된 사건이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35716|#1]]--[[https://archive.md/KqY31|@1]][[https://www.fmkorea.com/best/8219512133|#2]][[https://archive.md/Pl5i6|@2]] [* 다음 링크는 등재 당시 확인이 가능하였으나, 현재는 삭제되거나 접근이 제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singlebungle1472/1709779|#1]]] ==== 전개 ==== 영상 자체는 2025년 1월 18일 [[왁물원]]에서 먼저 다뤄졌다. 카페 활동이 없던 한 유저가 가입 이후 첫 글로 이세계아이돌과 목소리가 비슷한 사람들이 나온다며 영상을 ''''형 고세구 주르르 징버거 부산에서 석화 먹는거 봤어?\''''라는 제목으로 '형 이거 봤어?' 게시판에 올렸다. [[https://naver.me/5HkZulND|#]] [[https://archive.md/wpED4|@]] 당시 카페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파리]]들의 반응으로는 말투와 목소리가 매우 비슷하다는 댓글이 많았으며, [[우왁굳]]은 생방송 도중에 영상을 시청하고 약간 비슷한 느낌이 있다는 등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당시에는 단순한 유머성 게시글로 받아들여졌고 별다른 파급 없이 지나갔다.[* 이후 3월 23일 새벽 방송 중 우왁굳은 이에 대해 "과거에 형이봤에서 웃어넘겼던 영상이 갑자기 화제가 되어 당황스럽다"고 짧게 언급했다.] 2025년 3월 21일, 동일인 여부 의혹이 제기되면서 디시인사이드의 갤러리들 간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https://archive.md/BXwMt|@1]] [[https://archive.md/StLBW|@2]][* 최초 의혹을 제기한 측의 글 원본은 패러블의 법적 대응 선언 이후 작성자 본인이 삭제했고, 그 글에 대한 반응만 남아있다.] 3월 22일, 4개월 전 업로드된 [[https://www.youtube.com/shorts/tSyV__tra3k|굴포차 쇼츠]] 영상이 재발굴되면서 의혹이 여러 커뮤니티로 확산됐다. 해당 의혹은 [[싱글벙글 지구촌 마이너 갤러리]]를 시작으로 하루 만에 급속도로 확산됐고 [[https://gall.dcinside.com/singlebungle1472/1709779|#1]] [[https://gall.dcinside.com/mini/isekaidol/4082598|#2]] 디시인사이드 실시간 베스트 갤러리에서 역대 두 번째로 댓글이 많이 달린 게시글이 될 만큼 유저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316441|#3]][*아카이브2 [[https://archive.md/Rkrse|@1]] [[http://archive.md/nGHMi|@2]] [[https://archive.md/7eDHu|@3]]] ==== 이세계아이돌 측의 대응 ==== 2025년 3월 23일 오전 1시 25분, [[우왁굳]]이 실시간 스트리밍에서 논란에 대해 입을 열었다. 우왁굳은 "영상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이세계아이돌과는 무관한 [[일반인]]이므로 이들을 향한 악성 댓글을 자제해 주기 바란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또한 "최대한 이성적으로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선에서 법적 대응을 따로 검토해 보고 보고드리겠다"라고 발표했다. 이어서 "이런 게 논란이 된다는 것 자체가 [[짜치다|짜치고]] 부끄럽다", "그게 설령 [[이세계아이돌]]이 맞다한들 우리가 잘못한건 없는거야", "재밌는 해프닝이고 세상 사람들이 뭐라 하는건 감내하면 되는거야" 라고 발언했으며, "그만큼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다는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54977985?change_second=16642|#]] 오후 3시 40분, 이세계아이돌의 소속 [[MCN]]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역시 입장문을 통해 '당사 및 소속 크리에이터와 관련한 논란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folding [ 3/23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입장문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500><nopad>[[파일:3월 23일 자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입장문.jpg|width=100%]]||}}} 오후 4시 18분, 우왁굳이 다시 방송을 켜 "영상에 등장하는 사람들은 일반인이기에 2차 가해가 없도록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아울러 "지금부터는 MCN과 법무팀에 사안을 모두 일임하고 크리에이터 측과 분리함으로써, 사이버 불링 및 허위 사실 유포 문제를 최대한 강경하면서도 자율적으로 처리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 및 영상과 별개인 과거의 사안까지 처리할 것"이라고도 부연했다. 이어서 팬들에게는 "논란은 잊고 방송과 재밌는 콘텐츠, 음악 활동에 집중해 줄 것"을 부탁했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55018157|#]] 3월 24일 5시경 [[왁스코드]]를 통해서도 요약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66056|#]] 한편 우왁굳은 이세계아이돌 관련 팬 커뮤니티에서 터져나온 '소속 MCN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의 무성의한 대처와 안티 팬들에 대한 방관 때문에 벌어진 사태다'와 같은 반응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우왁굳은 "패러블 측은 강경 대응을 원했으나 나와 이세계아이돌 측에서 막고 있던 부분이 있었다"[*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은 사이버 불링에 이전까지 소위 말하는 [[병먹금]] 기조로 대응해 왔었다. 우왁굳이 3월 23일 오후 4시경 방송 중 언급한 "그동안은 인터넷 방송이라는 점에서 유야무야 넘어가는 부분이 있었다"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패러블이 우리의 허락을 매번 받지 않고 [[법무법인(유) 바른]]과 함께 독립적으로 대응을 진행할 것이다"라며 [[삼권 분립]] 시스템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패러블이 이세계아이돌 관련 문의 메일을 확인하지 않았던 이유도 2년치 분의 메일함을 통째로 보관하고 있었기에 그랬다고 설명했다.[* 내용이 중복되므로 하나하나 모두 읽어보지는 않았던 것이라고 부연했다.] [[고세구]]와 [[아이네]] 역시 당일 실시간 스트리밍에서 직접 사실이 아님을 언급하며 논란에 대해 부인했다. 아이네는 "정상인들이 반박하는게 통하지도 않고 들을 생각도 없어요", "현실 여자들 목소리를 잘 안들어봤으니까 잘 모르나보죠"라는 발언을 하며 논란에 대하여 직접적인 해명은 하지 않았다. [[https://vod.sooplive.co.kr/player/155066093?change_second=1235|#]] 2025년 3월 27일 오후 4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는 당사 명의로 홈페이지를 통해 추가 입장문을 발표했다. {{{#!folding [ 3/27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입장문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500><nopad>[[파일:3월 27일 패러블 공지.png|width=100%]]||}}} 2025년 6월 16일, 패러블 엔터테인먼트는 홈페이지 팝업 공지를 통해서 소속 아티스트에 대한 사이버 범죄에 대한 법적 조치 및 대응 상황을 공유했으며 11명은 법률 대리인인 바른을 통해 고소장이 접수되었다. [[https://web.archive.org/web/20250616090318/https://parable-asia.com/|@]] [[https://firebasestorage.googleapis.com/v0/b/parabrick-6beb4.appspot.com/o/article-attachment-3aNNU9JnYtGKdWV0VZxG-1750059376473?alt=media|해당 팝업 공지에 첨부된 이미지]] ==== 반응 ====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해당 사건은 실존인물과의 일치 여부와 관계없이, 이세계아이돌 멤버와 그 [[이파리|팬덤들]]을 조롱하기 위한 [[밈(인터넷 용어)|밈]]으로 변질되었고, 굴을 사용한 댓글 및 조롱이 지속되고 있다. 원본 굴포차 유튜브 영상에서도 [[굴(어패류)|굴]]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세계아이돌의 비하성 드립이 주를 이루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51981|#]] 이에 대한 2차 피해로 유튜버 [[흑백리뷰]]는 두찜 리뷰 영상에서 이세계아이돌 이벤트를 언급한 것으로 인해 굴과 관련된 댓글들이 달렸고, 이로 인해 풀버전 영상을 삭제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50214|#1]]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9640487|#2]] 한편 본 논란의 시발점인 [[https://youtu.be/bq6FoSOdM9U|유튜브 영상]]의 댓글에서는 [[이세계아이돌]]의 팬덤인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파리]]들의 [[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방송인 사이버 불링|사이버 불링]] 등 사건사고 관련 댓글[* 특히 [[사이버 불링]] 등 [[괴롭힘]] 행위에 대해 알리는 내용이 많이 게시되었다.]이 상당수 게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실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그 결과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로 퍼져나가 여러 [[왁타버스]] 관련 논란을 포함해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및 [[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팬덤이 일으킨 사건사고에 대한 논란]]의 점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singlebungle1472/1724815|#1]] [[https://gall.dcinside.com/singlebungle1472/1724558|#2]][*아카이브3 [[https://archive.md/xHDjw|@1]][[https://archive.md/K5ZbO|@2]]] 이 사건 이후 이세계아이돌 팬덤인 이파리를 팬덤 외부에서 칭하는 멸칭으로 '굴단'이 추가되었다. [[중앙일보]]에 이 사건을 다룬 칼럼이 보도되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513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세계아이돌, version=4376, uuid=20f2227f-4497-44f7-b1fd-70c0f64cecba, paragraph=12.1)] === 작업자의 임금 관련 폭로 및 무급 노동 논란[anchor(작업자 무급 노동 논란)] === [[https://m.dcinside.com/board/dcbest/344079|디시인사이드]][[https://archive.md/Q8Vmc|@^^디시^^]],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311999|루리웹]][[https://archive.md/Lzmib|@^^루리웹^^]], [[https://theqoo.net/hot/3810236956|더쿠]][[https://archive.md/0NP3H|@^^더쿠^^]] 애니메이션 동화 작업의 급여를 작업 진행 전 갑작스럽게 삭감해서 협상했으며 정산까지 1년여가 걸리고[* 총 작업은 2023년 2월 21일에 끝남.] , 다른 애니메이션의 작화, 동화, 채색 작업을 무급으로 진행하였다는 사실이 폭로되며 불거진 논란이다. 2025년 7월 2일, 이세계아이돌의 커버곡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작업자의 임금 관련 폭로로 커뮤니티에서 이세계아이돌 관련 논란이 점화되었다. 폭로자 측 주장에 따르면 고세구의 홍련화 커버 애니메이션 동화 작업의 경우, '''작업 중''' 고세구 측의 '''예산 책정 실패'''를 이유로 20장 작업에 장당 1,500원에서 1,000원으로 계약 조건을 갑작스럽게 변경했으며, 정산까지 1년여가 걸려서 입금된 금액은 '''2만 원'''이었다고 한다. 또한 폭로자는 홍련화 이후로도 징버거의 봄도둑 커버 애니메이션에는 동화뿐만 아니라, 원화 및 채색까지 담당했음에도 무급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 [[파일:2만원.jpg|width=100%]] || > 고세구 22.5.3. 오전 2:49 > 안녕하십니까 A님! 고세구이빈다! > 다름이 아니라 작업해주신 건에 대한 비용 관련 이야기인데요! 생각했던 예산에서 더 쓰이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바꾸다보니… 처음에 말씀 드린 가격에서 변동하게 되어 디코남기게 되었스빈다! > A님의 경우 동화 작업을 부탁드리게 될 예쩡인데요 > 그 부분에 대해서 보낼 장당 1500원이었던 작업이 장당 1000원으로 내려가게 될 것 같은데 혹시 괜찮으실지 여쭙게 되었스빈다!8ㅁ8 > 예산 문제로 이렇게 여쭙게 되어 정말 죄송하빈다 ㅠㅠ 편하게 답장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두 번째 사진에 대한 마스킹 제거한 원문][* 제보자의 신상털이를 감안하여 마스킹하였다고 한다.] 고세구의 커버곡 작업에서 기여한 부분으로 추정되는 씬은 다음과 같다.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더쿠.gif|width=100%]]||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1000018225.gif|width=100%]]|| 징버거의 커버곡 작업물은 다음과 같다.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징버거꽃도둑1.gif|width=100%]]||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징버거꽃도둑.gif|width=100%]]|| 이후 폭로자는 [[릴파]]의 귀멸의 칼날 애니메이션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되었는데, [[고세구]]의 홍련화 커버곡 작업자들은 보수를 받는 것을 당연히 여겨 보수를 요구했으나, [[징버거]]의 봄도둑 영상 작업자들은 [[릴파]]의 프로젝트도 무보수로 일하는 것으로 알고 보수를 요구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이후 새로 합류한 인원들이 보수를 요구하면서 작업 진행에 갈등이 생기며 프로젝트의 진행에 큰 문제가 생겼고, 폭로자는 이를 보고 해당 프로젝트에서 이탈했다고 얘기했다. 얼마 후 [[릴파]]의 귀멸의 칼날 애니메이션 프로젝트도 무산되었다고 한다.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무급1.png|width=100%]]||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무급2.png|width=100%]]|| === [[THE ISEDOLM@STER#등록된 상표 도용 논란|THE ISEDOLM@STER 상표 무단도용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ISEDOLM@STER, 앵커=등록된 상표 도용 논란)] === [[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작업자의 왁타버스 내 문제 폭로|작업자의 왁타버스 내 문제점 폭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 앵커=작업자의 왁타버스 내 문제 폭로)] === 음원 불법 배포 행위 발각 === 릴파가 음원을 [[불법 배포]]한 것이 발각됐다. 더욱 심각한 점은 저작권 상 문제가 됨을 인식하고 배포를 하였다는 점이며, 조회수 공약을 걸며 배포를 하는 등 이익을 위해 배포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SoundCloud]]를 통해 배포를 하려고 시도하였지만 규정으로 막혀 우회 경로를 찾아 배포를 한 것에서 의도적으로 저작권을 어겼다는 점도 드러났다. [[https://www.fmkorea.com/best/8543620539|#1^^펨코^^]][[https://archive.md/5xy0w|@1]],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130791|#2^^루리웹^^]][[https://archive.md/OVcRk|@2]],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130984|#3^^루리웹^^]][[https://archive.md/EVNCn|@3]], [[https://www.dogdrip.net/640766017|#4^^개드립^^]][[https://archive.md/1H6AU|@4]], [[https://gall.dcinside.com/dcbest/340290|#5^^실베^^]][[https://archive.md/SbFG2|@5]][[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131865|#6^^루리웹^^]] ||<tablewidth=1000><width=50%><tablebordercolor=#00bca1,#00bca1><bgcolor=#0f0f0f><nopad>[[파일:네버001.webp|width=100%]]||<width=50%><bgcolor=#fff><nopad>[[파일:네버002.webp|width=100%]]|| 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이파리(이세계아이돌)|팬]]들 또한 음원을 서로 배포하였다.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왁물원 내 음원 불법 배포에 대한, 문서명=이파리(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커뮤니티/왁물원, 앵커=왁물원 내 음원 불법 배포)] === 커버곡 저작권 위반 행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왁굳/논란 및 사건 사고/법률 및 약관 위반, 앵커=저작권 관련, 설명=우왁굳 및 왁타버스의 저작권 논란에 대해서)]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506305|디시인사이드]] [[https://theqoo.net/square/3548297376|더쿠]] [[https://instiz.net/name_enter/94653903|인스티즈]] [[https://x.com/Otokonoko_my/status/1872442151566778612|트위터1]] [[https://x.com/puhaha294110/status/1872276773381308778|트위터2]][*아카이브5 [[https://archive.md/dwXK1|디시인사이드]] [[https://archive.md/kRmiY|더쿠]] [[https://archive.md/lSfQz|인스티즈]] [[https://archive.md/s87sk|트위터1]] [[https://archive.md/wQM91|트위터2]]] 2024년 12월 26일, [[왁타버스]] 채널에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OST [[부탁할게! 신데렐라]]와 [[러브 라이브!]]의 두 번째 싱글 타이틀곡인 [[Snow halation]]의 [[이세계아이돌]] 커버곡을 업로드했다. 해당 논란은 두 곡에 대해 [[X(SNS)|X]]에서 [[프로듀서(아이돌 마스터 팬)|프로듀서]]와 [[러브라이버]]가 강도 높은 비판을 하며 시작됐다. 커버곡이라고는 해도 애니메이션 라이브 연출을 그대로 뜯어가는 건 처음이라며, 이것이 정말 [[오마주]]라고 할 수 있는 것이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또 해당 영상들은 왁타버스 로고와 함께 'OFFICIAL'이라는 문구가 사용되었는데, 공식 [[콜라보]]에 의한 커버곡도 아니면서 어째서 'OFFICIAL'이라고 오해를 살 수 있는 문구를 사용하는지 지적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전까지 왁타버스 내의 커버 곡은 영상 썸네일 하단부에 팬채널이 아닌 공식 채널에 업로드 되었다는 의미로 왁타버스 로고와 함께 'OFFICIAL'을 붙여왔다. 참고로 데레마스의 음반 레이블인 [[일본 컬럼비아]]는 극도로 보수적인 스탠스로 악명이 높은 곳이라, 스트리밍 서비스에서도 게임 사이즈로만 곡을 제공한 전적이 있어 빈축을 들은 바 있다. 이러한 탓에 공식적인 커버 허가를 받지 않고 무단으로 사용했다고 보는 팬들이 많다.][* 또한 이러한 위조 오피셜 표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구글에서의 검색 알고리즘이 오염되어 원곡 영상보다 커버곡이 먼저 뜨는 주객전도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강풍올백]], [[APT.]] 등 우타이테나 스트리머가 노래를 커버할 때 원곡의 뮤비를 패러디하는 사례는 이미 다수 존재했다는 반론 또한 제기되었다. 그러나 [[부탁할게! 신데렐라]]와 [[Snow halation]]은 예시의 곡들과 달리 단발적으로 패러디하기 용이한 [[밈(인터넷 용어)|밈]]/[[챌린지#SNS상에서 이용자들의 밈]] 요소가 부각되지 않으며, 해당 작품군의 고유한 스토리가 짙게 드러나는 있는 상징적인 곡들이기 때문에 단순 오마주나 패러디가 아닌 [[표절]], [[프리소스화]]로 이어질 위험이 더 크다. 이 두 곡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면서 과거 왁타버스의 다른 커버곡 영상 또한 재조명됐다. [[고세구]]는 [[팬서비스(HoneyWorks)|팬서비스]] 영상의 설명란에 "스토리를 유추해보세요" 라고 기재했는데, 자신의 일대기를 녹여낸 것이 아닌 [[나루미 모나]]의 서사를 그대로 따라하면서 저런 코멘트를 남기는 것이 과연 원작에 대한 존중이 맞는 것이냐는 비판을 받게 됐다.[* 이후로도 방송 해시태그에 '#팬서비스부른애'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과거 [[보컬로이드]] 팬덤과 마찰을 빚으며 연출 표절, 모션 추출이 논란이 됐던 [[하쿠0089 ODDS&ENDS 모션 무단 사용 논란]][* 논란 이후에도 보컬로이드 관련 곡들을 지속적으로 커버하며 원곡 내려치기가 이루어지거나 프로세카 주년 기념곡을 불법 배포하는 등 원작을 무시하는 기조 탓에 당시에도 갑론을박이 벌어졌으며 이를 회피했다. 이후 본격적인 논란 점화 후에는 자세한 전말이 드러나며 이를 알게 된 보카로 팬들에 의한 역풍이 더더욱 거세게 불기도 했다.]과 함께 왁타버스의 저작권 의식이 다시금 비판받기도 했다. 또한, 해당 논란으로 인해 얼마 지나지 않아 [[But You Want More]]의 공식 뮤직비디오가 비공개 처리 되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뮤직비디오의 배경으로 러브 라이브의 게임 배경을 이용하였다는 사실은 2022년 [[왁물원]]에서도 이미 제기됐던 사실이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4704516|#1]] 하지만, 사건 발생 이후 왁타버스의 여러 영상물이 재조명 되었고, 뒤늦게 해당 뮤직비디오는 공식적인 발표없이 갑작스럽게 비공개가 되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3055950|#2]] [[우왁굳]]은 방송 도중 해당 문제에 대해 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아무런 의견이나 입장 발표 없이 침묵으로 일관했다.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859023|#3]] 현재까지도 뮤직비디오는 비공개 상태이며, 이후 영상 없이 음원만이 따로 공개됐다.[*아카이브6 [[https://archive.md/Aas7T|@1]] [[https://archive.is/SPEZQ|@2]] [[https://archive.md/JcadA|@3]]] 해당 논란 발생 후에도, 왁타버스 채널은 오해를 살 수 있는 'OFFICIAL' 문구 사용에 관해 전혀 교정하지 않다가, 한 번 더 문제가 지적된 후에야 모든 채널에서 'COVER' 문구로 변경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830427|#]][[https://archive.md/lFBuG|@]] 하지만 모든 곡들에서 수정이 된 게 아닌 일부 커버곡들[* [[Ado]]의 곡 일부, [[봇치 더 록!]] 수록곡 일부, [[진격의 거인]]의 [[홍련의 화살]], [[프리파라]] 곡 등이 오피셜 마크를 달고 공개 중이다. [[축복(YOASOBI)|축복]]의 경우에도 오피셜 마크를 달고 공개 중인데, 이 곡은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수성의 마녀]] 한국어 더빙판 방영 시에 원작자인 '''요아소비와의 협상이 힘들었다'''는 [[https://m.dcinside.com/board/thewitchfrommercury/1103?headid=&recommend=&s_type=name&serval=SGUKAL|비화]]가 있는데다, 공개한 가사 역시 한국어 더빙판의 번안과 완전히 같아 명백한 저작권 위반으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의 경우에는 여전히 '오피셜' 표기를 달고 업로드 된 게 밝혀져, 문제가 될 때만 수정하는 면피성 수정이란 사실이 드러났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1065015|#1]][[https://archive.md/vJDDv|@1]][[https://www.fmkorea.com/best/8532155403|#2]][[https://archive.md/5FuiS|@2]] 2025년 6월 21일 기준으로 커뮤니티 상에서 '오피셜' 표기로 말이 나왔던 대다수의 곡들의 섬네일에서 '오피셜' 표기가 제거되었다. 이전의 아이마스와 러브 라이브 때처럼 사과 한 마디 없이 잠수함 패치 식으로 수정된 것에 비판의 목소리가 다시 나왔다. 또한 공론화가 되지 않은 일부 커버곡에는 여전히 '오피셜' 표기가 건재하다. 2025년 7월에는 왁타버스 채널의 영상들이 엄청나게 삭제 혹은 비공개 처리되었다.[* 25년 7월 10일 21시 기준 동영상이 160개가 남아있다.] 단순, 문제가 된 커버곡만 아니라 각종 방송 클립들도 싹다 내려간지라 아예 이참에 채널을 개편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었다.[[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320913|#]][[https://archive.md/7CkwD|@]] 다만 개인 채널의 커버곡은 그대로 남아있고, 오피셜 표기가 붙은 곡도 그대로 존재하기에 이쪽 역시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규모 비공개 처리 후 이틀이 지난 5일에는 왁타버스 채널의 총 조회수가 대폭 급감하여 사실상 문제가 된 영상들을 대거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왁타버스, 앵커=영상 대규모 삭제 및 비공개)] === 멜론 공식 프로필 사진 IVE 사진포즈 무단도용 논란 ===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이세돌아이브트레이싱.jpg|width=100%]] [[파일:이세돌러프도안.jpg|width=100%]]|| 이세계아이돌의 멜론 공식 프로필 사진과 [[IVE]]의 첫 단독 콘서트 당시 찍힌 사진과 비교되며 아이브 사진의 포즈를 도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또한, 이세계아이돌 프로필 사진의 러프 도안에서, IVE의 단체 사진과 포즈와 손모양이 가장 일치하는 주르르, 비챤, 징버거가 먼저 그려졌다는 사실이 댓글을 통해 알려지며, 단순한 우연으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에 힘이 실렸다. [[https://www.instiz.net/name_enter/94654183|#1]] [[https://theqoo.net/ib/3557998059|#2]] [[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675701|#3]][*아카이브4 [[https://archive.md/OeXh5|@1]] [[http://archive.md/1E4Dt|@2]] [[https://archive.md/JLAaX|@3]]] [[우왁굳]]은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프로필 사진을 선정하기 위해 [[왁물원]]에서 공모전을 열었는데, 방송 도중 작업 중인 해당 이미지를 보고 바로 선정했음이 알려져 있다. [[https://www.fmkorea.com/5833448393|#]] [[https://archive.md/qodPL|@]] 해당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 달 간 이미지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2025년 2월 경 4집 출시를 앞두고 별다른 언급 없이 새로운 이미지로 변경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streaming/550003|#]] [[https://archive.md/F180a|@]] 하지만 논란이 불거진 당시나 이미지 변경이 이뤄진 후에도 그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 표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추가로 [[이세계 페스티벌 2025]]에선 여전히 해당 사진을 사용하고 있다. 일정에 있는 사진과 ABEMA 해외 스트리밍에 쓰인 사진이 다른 것을 보면 사이트 제작 중에 실수가 있었던 듯 하다.[[https://isegye-festival.com/|#]][[https://archive.md/l9uDE|@]] 현재 멜론에는 해당 사진으로 변경되었다. ||<tablewidth=450><tablebordercolor=#00bca1><nopad>[[파일:이세계아이돌 멜론 프로필 새 사진.png|width=100%]]|| === 공연 중 녹화 영상 상영 논란[anchor(녹화 공연 논란)] ===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의 소식이 커뮤니티에 퍼지자 라이브 대신 녹화 영상을 사용할 것이라는 추측이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기됐다.[[https://www.dogdrip.net/623064507|#1]] [[https://gall.dcinside.com/dcbest/317194|#2]] [[https://www.fmkorea.com/best/8219634443|#3]] [[이세계 페스티벌(2023)|이세계 페스티벌]]에서 처음 시작된 녹화 영상 송출 방식 또한 지적하는 유저들 사이에서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https://gall.dcinside.com/stream_new1/13701869|이세페 반응]][*아카이브7 [[http://archive.today/5sRbj|@1]] [[http://archive.today/HUQNl|@2]] [[http://archive.today/YoH44|@3]] [[https://archive.md/4yFYf|이세페 반응]]] 이러한 추측은 라이브 공연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과거 이세계아이돌의 무대들에서 비롯됐다. 이전까지의 모든 [[마인크래프트 인터넷 방송인 서버]]에서 콘서트에 참여한 다른 방송인들이 전부 라이브로 공연한 만큼 자연스럽게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 콘서트|악어의 놀이터2 콘서트]]에서도 라이브 무대를 기대했지만 해당 콘서트에서 이세계아이돌의 세트리스트 5개의 곡 중 2곡인 [[나는 아픈 건 딱 질색이니까]]와 [[サインはB|사인은 B]]가 라이브가 아닌 녹화영상으로 공개됐고, 그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나타났다. [[https://gall.dcinside.com/mini/soopinternet/1476075|#1]] [[https://www.fmkorea.com/7075625303|#2]][*아카이브8 [[https://archive.md/00o4t|@1]][[https://archive.md/jaQ8f|@2]]] 또한 [[이세계아이돌]]은 [[SOOP/시상식|SOOP 시상식]]에서도 라이브를 진행하지 않고 미리 사전에 준비된 영상을 사용했으며, 왜 라이브를 하지 않는지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나타났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1548073|SOOP 시상식 녹화 반응]] [[https://archive.md/uNswj|@]] 일부 유저들은 공연[* 대표적으로 비챤의 온라인 콘서트 [[비챤/콘텐츠/역광|역광]]에서, [[그저 네게 맑아라]]를 제외한 파트의 안무 및 모션 캡처를 '오꾼도꾼'이라는 인물이 대신 수행했다.]이나 커버 곡, 쇼츠 등의 미리 녹화된 영상의 몸동작마저 모션 액터인 '오꾼도꾼'이 대신 수행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https://gall.dcinside.com/mini/vtubersnipe/779982|모션 액터 관련 글]] [[https://archive.md/8y4Ki|@]] [[릴파]]의 경우, 오프라인 콘서트 [[LILPACON : Going Out - SOOPER CONCERT]]에서 공연 일부[* [[https://www.ticketlink.co.kr/product/50487|예매처]]에 적혀있는 입장 및 관람 안내 "공연 중 일부가 미디어 퍼포먼스가 포함되어 영상화된 공연으로 진행된다는 점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에 쓰여진 내용으로 알 수 있듯이 공연 전체가 라이브는 아니었다.]를 라이브로 진행했다.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 [[파일:모션캡쳐이거진짜에요?.jpg|width=100%]] || 이후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이세페 2025]]에서 라이브로 진행할지는 미지수였으나, (주)크레비쥬[* [[이세계 페스티벌(2023)|이세페 2023]]에서 리와인드 영상 모션 캡처를 담당한 업체]에서 2일차에 상영한 대부분의 단체곡의 모션데이터 후보정을 담당하였다고 밝혀, 공연의 모션 전체를 라이브로 진행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다. === 뷰봇 사용 관련 의혹[anchor(뷰봇)] === [[https://gall.dcinside.com/dcbest/324450|디시인사이드]][[https://archive.md/NqnJ0|@]], [[https://archive.md/GRGBu|개드립@]],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273926|루리웹]][[https://archive.md/Cojum|@]] ||<^|1><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bgcolor=#0f0f0f,#0f0f0f> [[파일:이세계아이돌뷰봇1.jpg|width=100%]]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bca1><nopad><bgcolor=#fff> [[파일:이세계아이돌뷰봇2.jpg|width=100%]] ||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방송에 [[뷰봇]]이 사용된다는 의혹이 각종 커뮤니티에서 제기되었다. 의혹의 주요 근거로는 타 스트리머 대비 시청자 수의 PC : 모바일 비율에서 PC 시청자 수 비율(대부분 75% 이상)이 상당히 높다는 점이 지적되었으며, 비율이 90%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특히 모바일 시청자 수가 20명 증가하는 동안 '''PC 시청자 수는 1600명가량 증가'''하는 모습도 관측되는 등 모바일 대비 PC 시청자 수의 증가폭이 비정상적으로 크다는 점도 논란이 되었다. 또한 [[유튜브]]에서도 조회수 [[어뷰징(음원)|어뷰징]] 의혹이 제기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설명=유튜브 조회수 어뷰징에 대한, 문서명=왁타버스 뮤직, 앵커=논란 및 사건 사고)] === 로고 폰트 저작권 논란 === * 아시아타임즈 [[https://www.asiatime.co.kr/article/20250715500106|계속되는 저작권 의혹⋯ 유튜버 우왁굳, '이세돌 로고' 폰트도 논란]] * [[https://www.fmkorea.com/8654087662|에펨코리아]] [[https://gall.dcinside.com/dcbest/347609|디시인사이드 실시간 베스트]][[https://archive.is/rTjbL|@]] [[https://bbs.ruliweb.com/best/board/300143/read/71493381?orderby=best_id&range=&search_type=subject&search_key=%EB%A1%9C%EA%B3%A0&m=humor_only&t=now|루리웹]] [[파일:폰트세계아이돌.jpg]] 이세계아이돌 공식 로고에 [[비트로(기업)|비트로]] 서체 중 '비트로 코어' 서체가 무단으로 활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주)학산이 배포하는 비트로 서체는 BI, CI, 로고용으로는 사용이 불가하고, 스포츠 관련 업종은 모든 상업적 목적 이용을 제한한다고 [[https://www.vitro.co.kr/vitro/font.html|공식 배포 홈페이지]]와 [[https://vitrosport.co.kr/font/VITRO_FONT_LICENCE_.pdf|라이센스]]에서 밝히고 있다. == 멤버 == === [[아이네#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아이네, 앵커=논란 및 사건 사고)] === [[징버거#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징버거, 앵커=논란 및 사건 사고)] === [[릴파/논란 및 사건 사고|릴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릴파/논란 및 사건 사고)] === [[주르르/논란 및 사건 사고|주르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르르/논란 및 사건 사고)] === [[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고세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세구/논란 및 사건 사고)] === [[비챤#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비챤, 앵커=논란 및 사건 사고)] ##@[include(틀:공지/26)]
요약
되돌리기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